코로나19 ‘3차 대유행에 대응한 3차 재난지원금 지급 계획이 확정됐다.

정부는 29일 내년 111일부터 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에게 최대 300만원의 3차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지원금 총 규모는 56000억 원에 달한다.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이긴 하지만 코로나19 확산거리두기 상향취약계층 피해재난지원금 지급공식이 굳어지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이 같은 정부의 결정에 취약계층의 지원은 필요하지만 결국 국가부채로 돌아 올 수밖에 없다고 우려하고 있다.

정부 지원이 자영업자·소상공인과 특고·프리랜서 등 고용 취약계층의 피해에 턱없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재정지원도 한계에 봉착할 것이란 진단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을 고려해 내년 본예산을 편성할 때도 역대 최대 규모의 확장 재정을 선택했다.

총지출은 올해 본예산보다 8.5% 늘린 5558000억 원으로 총수입 483조 원보다 많다.

따라서 내년 적자국채 발행 규모는 사상 최대인 897000억 원으로 늘고 국가채무는 945조원까지 증가한다.

코로나 확산세가 조기에 꺾이지 않을 경우 추가 재정소요가 증가하면서 국가채무가1000조 원을 육박할 가능성도 있다.

김우철 서울시립대 교수는 전국민에 지급한 1차 지원금이 소비를 일으켜 내수 촉진 효과가 컸다는 점을 들어 보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으나, ‘경기 부양보다 피해 지원에 초점을 맞추는 게 바람직하다한 번에 끝나지 않고 내년에도 이런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재정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지원금 지급은 필요한 조치지만 재원이 한정돼 있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일괄적으로 현금을 주는 것보다는 업종별에 따라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홍기용 인천대 경영학부 교수(한국납세자연합회장)맘 달래기일 뿐이다하루 매상도 안되는 돈을 지원해서 내수진작 등 경제적 효과를 보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재난지원금 같이 (세금을) 붓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은 하면 안 된다마음 달래는 것이라지만 나쁜 말로 하면 포플리즘이고 결국 다 정부부채로 돌아오는 것이라고 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3차 재난지원금은 어쩔 수 없지만 4차까지는 어렵다면서 이러다가 재정정책도 한계 봉착하면 정책수단이 없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타개할 수 있는 방법은 민간기업 투자에서 물꼬를 터야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폴리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