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동산 정책실패로 집값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부동산시장에 몰린 돈이 사상 처음 2200조원을 돌파했다.

부동산 시장이 조정을 받거나 시장 금리가 오름세로 돌아설 경우 실물경제를 뒤흔들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한국은행의 ‘2020년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부동산금융은 22149000억원으로 2019년 말(2067조원)보다 7.1%(1479000억원) 늘었다.

20199월 말보다는 10.5% 늘어났다.

부동산금융은 금융회사의 부동산 대출·보증, 기업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차입금, 부동산 펀드·자산유동화증권(ABS), 주택저당증권(MBS), 리츠(부동산투자회사) 등을 합친 것을 말한다.

부동산금융은 2017년 말 17929000억원, 2018년 말 19187000억원에서 2019년 말 2067조원으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불어난 부동산금융은 국내총생산(GDP) 수준을 웃돌 만큼 커졌다.

명목 GDP대비 부동산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말 76.7%에 불과했지만 2018년 말 101.0%, 2019년 말 107.4%, 작년 9월 말 115.4%로 크게 뛰었다.

부동산금융을 세부적으로 보면 가계 부동산 대출이 1133700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5.3%(566000억원), 기업 부동산 대출은 8164000억원으로 7.3%(554000억원), 주택저당증권(MBS)과 부동산펀드를 비롯한 금융투자상품은 2648000억원으로 15.7%(359000억원) 늘었다.

이는 뛰는 집값을 마련하기 위해 차입금 조달을 늘린 가계의 움직임이 두드러진 결과로 보인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34033만원으로 201912(3352만원)보다 20.3%(681만원) 올랐다.

비대해진 부동산금융이 금융 안정을 위협할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부동산 가격이 조정을 받으면 가계부채 등 부동산금융이 부실화할 수 있다는 평가 때문이다.

최근 시장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는 등 대출 금리도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자산가격 조정 우려는 한층 커졌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지난달 17일 연 0.999%를 기록해 지난 429(1.006%)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국고채 물량이 쏟아질 것이라는 전망에 국채값(국채금리)이 하락(상승)한 결과다. 내년 인플레이션 우려에 10년 만기 미 국고채 금리도 0.9%대로 올랐다.

박창현 한은 조사국 과장은 지난달 발간한 코로나19 위기 이후의 성장불균형 평가보고서에서 자산시장으로 자금 쏠림이 두드러진 상황에서 경기 회복이 더뎌지면서 시장의 기대가 급격히 조정되면 자산가격이 급락하면서 가계부채가 부실화될 우려가 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폴리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