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정 총리 페이스북 캡처)
(사진=정 총리 페이스북 캡처)

정부와 여당이 코로나19 3차 확산에 따른 위기극복 국면에서 추진 중인 자영업 손실보상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가운데 21일 기획재정부 김용범 차관이 외국에서도 사례가 없다고 난색을 표함에 따라, 정세균 국무총리가 기재부의 나라냐, 법제화하라라고 강력히 지시했다.

재정의 열쇠를 쥔 기획재정부가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힘에 따라 국정운영을 총괄하고 있는 정세균 국무총리가 기획재정부를 향해 강하게 질타하며 법제화를 지시한 것이다.

정 총리는 2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의 방역기준을 따르느라 영업을 제대로 못 한 분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해야 한다이를 제도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기회재정부를 향해 국회와 함께 지혜를 모아 자영업 손실보상에 대한 법적 제도개선에 나서달라고 지시했다.

이날 정 총리의 발언에는 기획재정부를 향한 경고성 메시지가 담겨 있었다. 이유는 앞서 김용범 기재부1차관이 지난 20일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결과를 브리핑하는 자리에서 해외사례를 일차적으로 살펴본 결과, 자영업 손실보상제를 법제화한 나라는 찾기가 쉽지 않았다며 우회적으로 반대의사를 내비쳤다.

이에 대해 정 총리는 김 차관의 발언을 보고받은 뒤 이 나라가 기재부의 나라냐고 격노한 것으로 전해졌다. 논란이 확산되자 기획재정부는 이날 오후 늦은 시간에 해명자료를 내고 법제화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신속히 진화에 나섰다.

자영업 손실보상제는 코로나19 이후 집합금지 등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영업 손실을 법으로 보상해주자는 취지다.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과 같은 당 강훈식 의원이 관련 법안을 각각 발의한 상태다. 민 의원이 발의한 법안은 집합금지 업종은 손실 매출액의 70% 영업제한 업종은 60% 일반 업종은 50%를 보상해주는 게 골자다.

문제는 비용이다. 민병덕 의원이 발의한 법안 기준에 따르면 월소요 비용은 247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보상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예산규모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재정당국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김용범 차관이 공식적인 자리에서 난색을 표한 것도 재정건전성 악화를 우려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위기극복방안을 둘러싼 정부와 여당 내 불협화음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4전 국민 재난지원금지급문제를 놓고도 기획재정부는 공개리에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이번 논란이 더 확대되거나 극한 대립의 양상으로 흘러갈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정 총리 옆에 배석했던 김 차관은 회의가 끝난 뒤 손실보상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상세히 검토해 국회 논의과정에 임하겠다고 밝혀 논란은 일단락 됐다.

저작권자 © 폴리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