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문재인 정부 들어 아파트값 상승률이 50%를 넘었다는 시민단체의 주장을 반박하며 진화에 나섰다.

국토부는 24일 보도 참고자료를 배포하고서 "KB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을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이 52% 상승했다는 통계가 제시됐으나, 이는 시장 상황을 과잉 해석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 통계로 따져보면 현 정권에서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14.2%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경실련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KB주택가격동향 등을 통해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권에서 서울 아파트 중윗값이 1채당 31400만원(52%)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3% 하락한 이명박 정부와 29% 오른 박근혜 정부와 비교했을 때 큰 상승률이라는 게 경실련의 설명이다.

국토부는 "아파트 중윗값은 저가 노후 아파트의 멸실이나 신축 고가 아파트의 신규 공급 등에 따라 상승하는 측면이 있어 시계열로 단순 비교하면 실제 상황보다 과도하게 집값이 많이 오른 것으로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재건축 등에 따른 노후주택 멸실이 많으면서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도 예년 대비 많이 증가해 시계열 비교는 더욱더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연평균 서울 아파트 멸실 물량은 2010년부터 2012년 사이 3000가구 수준이었으나 2013년부터 2016년 사이 7000채로 2배 이상 불었고 2017년부터 2019년 사이에는 16000채로 더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도 2008년부터 2012년 사이 34000가구에서 2013년부터 2016년 사이 32000가구로 줄었으나 2017년부터 2019년에는 4만 가구 수준으로 올랐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또 국토부는 중윗값은 거래된 아파트의 가격을 활용해 통계를 산출하기에 최근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늘어난 상황에서 시장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한국감정원 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를 근거로 제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인 20175월부터 올해 5월까지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14.2%. 아파트 외 단독주택 등을 포함한 전체 주택의 상승률은 11.5%.

국토부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 부동산 시장 상황도 봐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별 주택가격 변동률은 시기별 경제상황과 주택 가격의 순환 사이클을 고려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해외 주요 국가가 2008년 금융위기 여파로 2010년대 중반까지 주택가격이 하락했지만 이후 회복하는 과정에서 높은 주택가격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는 게 국토부의 분석이다.

국토부는 "우리나라는 시장 회복기에 전국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수요가 집중되는 서울 등 수도권에서는 국지적 과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폴리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