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회원국 중에서도 꼴찌

연도별 합계출산율과 출생아 수 (자료=통계청)
연도별 합계출산율과 출생아 수 (자료=통계청)

작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84명까지 떨어져 또다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보고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2019년 0.92명보다 0.08명 줄었다. 

합계출산율은 2018년 0.98명으로 처음 1명 아래로 떨어졌고, 지난해는 0.9명대도 깨졌다. 특히 지난해 4분기 합계출산율은 0.75명까지 떨어지는 등 출생아 감소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합계출산율 1명이 넘는 지역은 세종(1.28명), 전남(1.15명), 강원(1.04명), 충남(1.03명), 제주(1.02명), 경북(1.00명) 등 6곳이다. 서울(0.64명), 부산(0.75명) 등 대도시는 젊은층과 미혼 인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출산율이 낮았다. 

OECD 회원국의 합계출산율 비교 그래프 (자료=통계청)
OECD 회원국의 합계출산율 비교 그래프 (자료=통계청)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OECD 회원국 37개국 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8년 기준으로 회원국 평균은 1.63명이었고 한국은 0.98명으로 유일하게 0명대였다. 

이는 대표적인 저출산 국가로 알려진 일본(1.42명), 그리스(1.35명), 스페인(1.26명) 등의 합계출산율보다도 현저히 낮은 수치다.

지난해 출생아는 27만2,410명으로 2019년(30만2,676명)보다 10% 감소했다. 연간 출생아 수는 2017년 처음 30만명대로 내려간 뒤, 불과 3년 만에 20만명대로 하락했다. 

반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출생아보다 3만2,717명 많은 30만5,127명으로, 출생아가 사망자보다 적은 인구 자연감소(데드크로스)가 처음 발생했다.

이와 관련해 통계청 김수영 과장은 "지난해 코로나19로 혼인이 많이 감소해 향후 출생아 수가 더욱 감소할 여지가 있고, 사망자 수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자연감소는 조금 더 가팔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폴리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