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의 여소야대는 정치 활성화가 아닌 정치실종의 구실로 작용했다. 정부권력과 의회권력이 엇갈린 현실을 두고 타협과 협치 외 답이 없다는 진단은 21대 국회초반부터 나왔다.

하지만 정치권은 대화와 타협의 길 대신 대결을 택했다. 대통령이 직접 야당의 발목잡기를 말했고, 여당원내대표는 빨리 다수 여당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국정운영에 무한책임을 지는 여권의 협치 실패고백에 가깝다.

정치 때문에 현실은 오히려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한국정치가 문제해결의 도구가 아닌 문제 자체가 된 것이다. 그럴 때마다 정치가 회복돼야 한다는 다짐의 말도 넘쳐났다. 그러나 문제는 그 이후다.

다짐과 자성이후 정치가 뒤따라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통령의 국정 우선순위에선 통합과 협치가 빠졌고, 거대 양당은 극한 충돌을 이어갔을 뿐이다.

양 끝으로 내달린 극단의 정치는 정치실종으로 이어졌고 정치실종의 대가는 정책 다양성 훼손, 여론의 방지턱 실종으로 나타났다.

혐오의 정치가 국회 안으로 들어오면서 차별금지법 등 혐오극복을 위한 정책은 사라져 버렸다. 극단적 정치가 광장의 극단적 언어를 부추기고 수위를 높인 언어를 다시 제도권 정치가 받는 악순환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극단적 정치는 누가 만들었나?’, ‘, 대결정치 틀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나?’, ‘정치인으로서 무엇을 할 것인가?’ 4.10총선을 앞둔 시점에 정치인들에게 국민들은 묻고 있다.

강성 지지자를 바라보는 팬덤 정치와 진영논리가 지배하는 정치, 그 바닥에 깔린 승자독식 선거제도의 문제 등이 고루 산재해 있다.

문제는 다짐과 자성 그 이후의 정치다. 22대 총선을 앞두고 민의를 제대로 반영할 게임의 룰을 정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현안에 도사린 뇌관을 해체하고 진영정치의 틀을 해체하는 답을 도출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이제 막 닻을 올린 2024년은 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다.

이 번 총선은 정치회복의 해로 기억될 수 있을까. 극단을 걷는 한국정치, 정치는 사법으로 회복하지 못하는 것을 치유하는 수단인데 정치가 불신 받는 현실에 국민들은 비애가 깊다.

여야 정치인들은 대결정치의 가까운 목격자이자 당사자다. 이 때문에 자신도 대결정치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결국 정치인 스스로 자초한 일이니 대각성, 대전환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폴리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