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 증원을 확정하면서 의료계는 대화와 강경투쟁의 갈림길에 섰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는 상황에서 의료계는 더 이상의 파국을 막기 위해서라도 대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의견이 고개를 들고 있다.

그러나 전국의 의대 교수들이 이미 사직서 제출 의사를 밝힌 데다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역시 신임 회장 선출을 앞둔 만큼 강경투쟁 분위기가 확산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내고 근무 현장을 떠난 지 한 달이 넘은 상황에서, 정부와 의료계는 마치 한 치 양보 없는 치킨 게임을 하고 있다.

정부는 복귀하지 않는 전공의들에게 최소 3개월의 면허정지 처분과 사법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의료계의 반발은 전혀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의료계 일부에서는 정부의 강경 일변도 조치로 전공의들이 돌아올 길이 막혔으며 이를 의료개혁의 동력으로 삼으려는 의도로 보는 시각도 있다.

사직을 하는 의대 교수들이 더 늘어날 수도 있고 의료계에서는 새로운 집단행동이 벌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강경일변도의 의료계에서 발생한 사태로 인해 환자들이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와 의료계 모두 이 문제에 대해 조사하고 있으며 환자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최근 한 임신부가 병원에서 수술을 거부당해 결국 아기를 유산했다는 사례가 접수되었다. 해당 병원은 이 사안에 대해 부인하고 있으나 이러한 피해 사례가 중대한 문제로 간주되어 정부가 조사에 착수하고 있다.

또 의료파행사태로 인해 투석치료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전공의 등이 부족해 응급수술이 지연되어 환자가 사망한 사례도 접수되었다.

이러한 피해신고는 중대한 사안으로 분류되어 정부가 즉각적인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환자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와 의료계는 타협점을 찾아야 할 때이다.

정부와 의료계는 이제 타협점을 찾아야 할 때이다. 의료계의 의사들은 환자의 생명을 담보로 일하는 사람들로서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대화와 협상을 통해 의료계와 정부가 함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의료계의 의사들이 환자 곁을 떠나지 않고 의료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저작권자 © 폴리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